한국전력공사 에너지 캐시백 신청하기

지난 해부터 일부 지자체에서 시범 운영하던 에너지 캐시백 제도를 올 7월부터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합니다. 이 글은 한국전력공사에서 시행하는 에너지 캐시백을 신청하는 방법, 에너지 캐시백 고객번호 확인 방법, 에너지 캐시백 사이트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.


에너지 캐시백 제도 개요

신청 대상

  • 가정용 고객 중 신청 주소지에 현재 거주하는 것이 확인된 사용자(주민등록표상 구성원인 경우)
  • 직전 2년 동안의 사용전력량 중에 최소한 1년의 사용전력량이 있는 경우

참여 제외 고객

  • 고압아파트에 거주하는 개별 세대 중 사용전력량 정보를 제출하지 않는 고객
  • 신규 전기 사용 등으로 직전 1년의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
  • 신규 전기 사용 등으로 직전 1년의 사용전력량 자료가 없는 고객

신청 방법

  • 온라인으로 상시 신청 가능
  • 구글, 네이버 등 포털 사이트에서 ‘한전 에너지 캐시백’을 검색한 뒤에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
  • 한국전력공가 고객센터(☎123)로 문의하면 신청 경로를 문자로 수신받을 수 있음
  • 전국 한국전력공사 사업소에서 방문 신청이 가능

적용시기

  • 신청하는 월부터 적용
  • 단, 2023년 6월 7일부터 8월 31일 내 신청한 고객의 캐시백은 2023년 7월분 사용량부터 적용

지급 기준

기본캐시백

  • 최소절감률 3%와 동일지역 참여가 평균절감률 이상을 달성한 경우 절감량 1 kWh당 30원을 지급
  • 단, 최대절감률의 한도는 30%까지

차등캐시백

  • 절감률 5% 이상의 경우는 절감률 구간별로 1 kWh당 30원에서 70원을 차등하여 지급
  • 단, 최대절감률의 한도는 30%까지
  • 2024년 1월부터 차등캐시백의 단가 조정 예정
에너지 캐시백 절감율 별  단가표

지급 방법

  • 매월 산정된 캐시백은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차감
  • 캐시백을 지급하는 형식이 아닌 다음 달 전기요금에서 캐시백 분이 반영
  • 캐시백 산정기간 중 주소지가 변경되거나, 해당 전기사용장소에 실제 거주하지 않는 경우 지급대상에서 제외

에너지 캐시백 신청방법

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

  • 구글 및 네이버 등 포털사이트에서 ‘한전 에너지 캐시백’을 검색
에너지 캐시백 검색 화면

에너지 캐시백 회원가입

에너지 캐시백 홈페이지 화면
  • 회원가입을 할 때 반드시 ‘개별세대 유형’을 선택 후 신청하기를 클릭
에너지 캐시백 선택 항목

에너지 캐시백 고객번호

  • 고객번호 등록을 위해 주민등록 주소를 확인
  • 안내 및 동의 사항을 확인한 뒤 고객정보 입력 및 인증을 진행
에너지 캐시백 고객번호 확인 화면
  • 현재 거주지의 고객번호가 조회되면 고객번호를 선택한 후 등록처리를 진행
에너지 캐시백 고객번호 등록 화면
  • 단, 행정망 주소와 한국전력공사 시스템에 입력되어 있는 주소 간에 정보가 불일치가 발생할 경우, 고객번호 조회가 불가할 수 있으며, 이 경우 한국전력공사 고객센터(ㅁ123)로 문의

에너지 캐시백 참여

  • ‘한전 에너지 캐시백 가입을 위한 확인 및 동의사항 체크’ 후 ‘한전 에너지 캐시백 참여확인’ 버튼을 클릭하면 참여가 완료
에너지 캐시백 동의사항 체크화면

참조

  • 한국전력공사 홈페이지

Related Articles

error: 해당 컨텐츠는 보호 받고 있습니다.